diff --git "a/5\354\236\245 \354\240\204\355\235\254\354\210\230.md" "b/5\354\236\245 \354\240\204\355\235\254\354\210\230.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30d3243 --- /dev/null +++ "b/5\354\236\245 \354\240\204\355\235\254\354\210\230.md" @@ -0,0 +1,33 @@ +# 5장 영웅, 선의 그리고 프로페셔널리즘 + +*“우리는 전혀 프로답지 못했다. 한번도 ‘아니오’라고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빡빡한 일정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필요한 모든 것을 분석하여 가능한 위험과 우려사항을 터놓고 관계자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불명확하거나 불편한 사실들, 걱정되는 사항들을 최대한 이른 시점에 문제제기 해야한다.”* + +- **‘노력해보겠다’라는 언어의 어려움과 고민** +
+ + 스터디에서 유일한 기획자인 나도 ‘노력해보겠다’라는 단어가 참 어려운 단어인 것 같다. 사실 기획자 입장에서는 모든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 당연히 좋다! 하지만 개발 리소스를 구체적으로 알지는 못하기 때문에 가능할까요?라는 질문을 정말 많이 하곤 하는데, 사실 보통 가장 많이 듣는 말이 ‘해볼께요, 될 수도 있을거 같아요’ 등과 같은 말인데 그러면 자연스럽게 무의식중에 되는 기능이구나라고 생각하고 계획을 짜게 되는 것 같다. +
+ + 물론 안되는 경우의 수도 계산해서 작업을 하는게 멋진 기획자의 자세겠지만,, 보통 기능하나가 바뀌면 그 기능과 연결되어 있는 전체적인 플로우를 수정하고 디테일도 수정하고 UX라이팅, 기획로직, 화면설계, 기능명세, 기획문서 등등 바뀌어야하는 것들이 많기도 하고 당장 해결해야하는 이슈들도 많아서 명확하게 안된다는 말을 듣기 전까지는 일단 된다고 생각하고 일을 하는 특징이 큰 것 같다! +
+ + 하지만 또, 개발자들의 입장을 너무나 이해하는게 보통 기획자는 A가 안된다면 이 기능을 수정한 A’는 어때요? A’’는요?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하기 때문에 무언의 압박으로 느끼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
+ + 기획자는 가능한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결과를 만들어내고 싶기 때문에 보통 한 기능이 반려당하면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개발자들이 덜 부담스럽게 느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에는 뭐가 있을지 고민이 많다..! +
+ + 이거는요, 저거는요를 이야기하기전에 A가능이 어려운 이유가 어떤 부분때문일까요? 이런 부분이 문제가 되는 걸까요? 전체적인 일정 측면에서 불가능한걸까요?라고 큰 틀에서 먼저 질문을 하고 세부 수정사항을 제안해보는 것이 좋을까? +
+ + 그리고 이 상황을 기획자와 개발자 관계가 아닌 상사와 사원의 입장으로 바꿔서 보면, **나도 ‘아니오’란 말을 잘 못하는 거 같긴하다.** 약간 하면 되긴 될 거 같긴해서 ‘어 좀 빡빡하긴한데 해볼께요’라는 말을 많이 하는 거 같다. **하지만 안해봐서 나도 될지 안될지 잘 모르겠는걸…? 해본 일의 경우 가능여부 판단이 명확한데 안 해본일의 경우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참 어렵다.** + +
+ +*“훌륭한 관리자는 현재 프로젝트 상태가 어떠한지 명확하게 이해하고 주어진 일정 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개발자들과 함께 추산 가능해야한다.”* + +- 현재 밋업의 PM을 맡고 있는데, 개발리소스와 일정을 파악하는 것은 아직도 너무 어렵다. 개발을 많이 경험해보지 않은 내가 일정을 파악하는 방법은 책에 나와있듯 명확한 ‘아니오’와 구체적인 진척사항을 이끌어내는 것인거 같다. +
+- 사실 많은 업무량을 소화하면서 세세한 진척도와 불만사항을 자발적으로 공유하기는 어려운거 같다. 그러니까 업무 진척사항을 공유하게 만드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스프린트별 회고시간 도입등을 통해서 소통과 공유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할거 같다.